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 테슬라 주가 널뛰기는 왜…韓 자동차 기회 커지나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 이광빈입니다.<br /><br />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, 지속가능한 사회를 모색하는 뉴스프리즘 시작합니다. 이번주 뉴스프리즘이 풀어갈 이슈, 함께 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'전기차 캐즘', 요즘 매체를 통해 많이 나오는 말이죠. 활황을 보이던 전기차 시장이 다소 주춤한데 따른 평가입니다. 전기차 시장을 주도해 온 테슬라 주가도 올해 폭락하기도 했죠. 그런데 '전기차 캐즘'은 전기차 판매량의 상승세가 예상보다 다소 둔화됐을 뿐 중장기적인 '전기차 대세' 전망이 꺾였다는 말은 아닙니다. 테슬라도 저가형 차량과 로봇 기술, 중국과의 새로운 협력 소식을 발표하며 다시 주가가 반등하는 추세인데요. 새로운 분수령을 맞이한 전기차 시장, 한미희 기자가 먼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'전기차 캐즘'에도 대중화 문턱에…중국이 선두 / 한미희 기자]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테슬라의 지난 1분기 판매 실적은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.<br /><br />주가는 올해 들어 40% 넘게 하락했고, 대규모 감원 계획까지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포드 등 기존 완성차 업체들까지 새로운 전기차 출시 일정을 줄줄이 연기하면서 급격히 성장해 온 전기차 시장이 침체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우려를 불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첨단 기술 제품이 얼리어답터가 지배하는 초기 시장에서 대중화로 넘어가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하거나 후퇴하는 '캐즘' 현상으로 보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세계 31개 국가에서 순수 전기차의 신차 판매 비율은 '티핑 포인트'인 5%를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전기차가 신차의 5%를 넘어서면 4년 이내에 25%로 급증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국제에너지기구 역시 올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 전기차 판매량이 20% 이상 증가하고, 2035년에는 신차 중 절반이 전기차가 될 것으로 봤습니다.<br /><br />엑손 모빌 등 세계 석유 기업들이 전기차 관련 사업에 투자하고 있는 것도 에너지 분야에서의 패러다임 변화를 방증한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전기차 생산과 소비에서 변화를 주도하는 건 중국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4분기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 전기차 판매 1위에 올랐던 비야디를 필두로 가전업체인 샤오미가 최근 열린 베이징 모터쇼에서 주목받았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60%, 중국 내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45%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2030년엔 중국 거리의 자동차 세 대 중 한 대는 전기차가 될 것이란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중국 업체들의 치열한 가격 경쟁 속에 주춤했던 테슬라 역시 저가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히면서 반등했습니다.<br /><br />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최근 중국을 깜짝 방문해 협력 강화를 확인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에서 전기차가 발전하고 있는 모습을 보는 건 반가운 일입니다. 미래에는 모든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가 될 겁니다."<br /><br />머스크가 중국 2인자인 리창 국무원 총리를 만난 직후 테슬라가 중국의 데이터 안전 검사를 통과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는 다시 급등했습니다.<br /><br />4년 전 출시했지만, 중국 당국의 데이터 규제 때문에 내놓지 못한 주행 보조 소프트웨어 'FSD'를 중국에서 도입할 가능성이 커진 데 따른 겁니다.<br /><br />중국 정부가 테슬라의 데이터 해외 전송을 최종 승인한다면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위한 알고리즘 학습을 가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'게임 체인저'가 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테슬라 #전기차 #중국 #캐즘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전 세계적인 전기차 성장세 둔화는 우리 자동차업계와 배터리업계의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 전문가들은 지금 닥친 전기차 숨고르기 기간을 현명하게 넘겨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'전기차 캐즘'에도 전동화 전환의 흐름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기 때문입니다. 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한국 자동차·배터리업계, '전기차 캐즘' 파도 넘을까 / 김주영 기자]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세계적으로 전기차 캐즘이 심화되는 와중에도 현대자동차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하는 데 그치며 선방했습니다.<br /><br />1분기 매출은 역대 1분기 중 최고치를 찍었습니다.<br /><br />기아도 1분기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내며 좋은 성적을 거뒀습니다.<br /><br />전기차 판매 비중이 낮아졌지만 이 공백을 수익성이 높은 하이브리드가 메운 것이 비결이었습니다.<br /><br />또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과 프리미엄 브랜드 등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 판매 전략도 호실적을 이끌었습니다.<br /><br /> "내연기관, 하이브리드차를 통해서 영업이익률을 극대화시키고 규모의 경제를 만들고, 전기차의 R&D를 통해서 향후를 대비하는 전략은 가장 최적의 방법이고…"<br /><br />나아가 현대차그룹은 올해 저가형 전기차 모델 출시를 준비 중인데, 가성비 전략으로 성장세가 둔화한 전기차 시장에서 활로를 찾겠다는 전략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역시 보급형 저가 전기차를 내놓기로 한 테슬라와 미국시장에서 진검승부가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반면 국내 배터리업계는 전기차 성장 둔화의 영향을 피해가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1~2월 국내 배터리 3사의 시장 점유율은 소폭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배터리 3사의 1분기 실적에도 먹구름이 꼈습니다.<br /><br />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, IRA 세액공제액을 제외하면 사실상 적자를 냈고, SK온도 3천억원대의 적자를 기록하며 9개 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삼성SDI는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을 겨냥한 고부가 배터리 판매로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시장 한파를 돌파하려면 결국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으로 승부해야 하는데, 국내 업체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제휴를 많이 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원가 절감하고 시간 절약이거든요. 우리 업체들만이라도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공동으로 개발을 해서 성과를 내라 이런 쪽으로 유도를 해야 되는 거죠."<br /><br />전기차로의 전환이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인 만큼 지금의 숨고르기 기간을 도약의 기...